반응형

투자 63

<꿀팁모아: 215번째 포스팅> 파킹통장 금리비교

파킹통장 금리비교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입니다. 진짜 너무 오랜만에 찾아뵙게 되었는데요. 거의 근 2년만에 다시 포스팅을 하게 될 줄 꿈에도 몰랐습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바로 파킹통장 금리에 대한 것입니다. 1 Intro 옛날이야 뭐 은행을 자주 방문해서 예금, 적금 통장을 관리했었는데요. 요즘 시대에는 아무래도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은행별 어플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은행을 방문하는 것대신에 인터넷은행을 많이들 애용하시는 것 같아요. 이번 포스팅에서 카카오뱅크와 토스 파킹통장에 대한 금리비교를 할까 합니다. 그 이유는 20대 30대들은 주로 토스를 많이들 이용하시고 카카오뱅크는 이미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은행이라 과연 이 두곳중 금리가 어디가 좋은지 비교할려고 포스팅합니다..

<꿀팁모아 : 80번째 포스팅> 전세대출 정부규제

전세대출 정부규제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전세대출 정부규제 입니다 1 서론 금융당국이 전세대출에 대해 "올해 총량규제 예외로 인정하고 내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 강화 시에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시중 은행들의 전세대출 조이기가 지속되고 있다. 이달부터 전세대출을 최대 전셋값 상승분까지, 잔금 지급일 이전에만 받을 수 있도록 제한하기로 했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소매금융을 취급하는 17개 은행은 모두 전세계약 갱신에 따른 전세대출 한도를 '전셋값 증액 범위 내'로 축소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전셋값이 최초 4억원에서 6억원으로 올랐다면, 지금까지 기존 전세대출이 없던 세입자는 임차보증금(6억원)의 80%인 4억 8000만원까지 전세대출을..

<꿀팁모아 : 76번째 포스팅> 일일코인추천(2)

일일코인추천(2)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일일추천코인 과연 무엇일까요? 바로 코박토큰 입니다 1 코박토큰 (CBK) 코박은 2018년 3월 서비스를 시작한 블록 체인 지갑이 내장된 세계 최초의 커뮤니티로 현재 40만명의 회원이 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코박은 12개의 주요 암호화 미디어 소스에서 코인 투자, 프로젝트 발표 및 거래소에 대한 실시간 뉴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커뮤니티 플랫폼이 되었는데요. 사용자는 정보 수집 및 커뮤니티 주도 및 프로젝트에 대한 선별된 정보의 배포와 관련하여 서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박은 사용자 친화적인 블록체인 지갑을 개발했으며 탈중앙화의 지갑이 생성되었습니다.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프로젝트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플랫폼 내 퀴즈 쇼 ..

<꿀팁모아 : 75번째 포스팅> 비트코인 연말 예상

비트코인 연말 예상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 입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바로 비트코인 (Bit-coin) 의 연말 예상입니다 계속적인 투자 방법 공부만 포스팅 하다보니 지루하실거 같아서 포스팅 해보려고 해요 1 가상화폐 최고 가격에 위치한 비트코인, 연말 어디까지 갈까? w모양 형태의 차트를 그린후 7월 21일부터 상승 1파가 발생이 되었는데요. 이때 가격은 7월 21일 기준 3500만원이었습니다. 그리고, 9월 6일, 상승 1파가 끝날 때쯤 고가는 6100만원 부근이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상승 2파가 잠시동안 온 후, 현재는 상승 3파가 진행중에 있는데요. 상승 3파의 고가는 8100만원, 지난번 고점까지 올라온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저항대를 맞아서 잠깐 동안의 조정인지 횡보인지..

<꿀팁모아 : 74번째 포스팅> 엘리어트 파동 (Elliott Wave Principle)

엘리어트 파동 (Elliott Wave Principle)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 입니다 오늘 가지고 온 주제는 바로 엘리어트 파동 (Elliott Wave Principle) 입니다 1 서론 엘리어트 파동 (Elliott Wave Principle)은 미국의 회계사인 랠프 넬슨 엘리어트(Ralph Nelson Elliott, 1871-1948)가 주식 캔들에서 찾아낸 상승 5파와 하락 3파의 모습을 가진 파동 패턴을 말을 하는데요. 이 파동 이론은 주식 및 암호화폐 거래에 적용이 될 수 있어요. 넬슨은 자기만의 연구를 통해 과거 75년간의 주가의 움직임에 대한 분간, 일간, 주간, 월간, 연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통된 자연법칙에 따라 반복적인 규칙이 있고 이를 계산할 수 있었는데요.  엘리어트 파..

<꿀팁모아 : 73번째 포스팅>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바로 일목균형표 입니다 1 서론 일본의 '이치모쿠 산징 (본명: 호소다 고이치)'이 1930년대에 고안하여 수 십 년의 세월 동안 연구해 발표한 일목균형표 (Ichimoku)는 시세의 균형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인데요. 다른 지표들처럼 가격이 얼마나 오를 것인가가 아닌, 가격이 언제까지 오르고 언제까지 내릴 것인지 즉, 시간 개념에 주목한 다소 난해한 이론으로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난해한 설명말고 요점들이 무엇인지만 이야기 하도록 할게요 (참고로 저는 일목균형표의 장기간 시세 위치 판별만 구분하고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일목균형표는 '전환선' '기준선' '선형스팬 1' '선형스팬 2' '후형스팬' 이렇..

<꿀팁모아 : 72번째 포스팅>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 입니다 보조지표는 정말 많은데요 천천히 포스팅 할 예정이니 지금 배우고 계시는 내용들만 충분히 숙지해주시면 됩니다:) 1 서론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는 1980년대 존 볼린저 (John Bolinger)가 가격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Envelop 지표가 적절한 매매 시점을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만든 대표적인 변동성 지표입니다. Envelop 지표와 볼린저 밴드의 유일한 차이점은 상한선과 하한선의 간격이 변화하는지 여부입니다. Envelop의 경우 일정한 비율을 설정해 놓으면 유지되는 반면, 볼린저밴드는 경우에 따라 그 범위가 확대 또는 ..

<꿀팁모아 : 71번째 포스팅> RSI (상대강도지수)

RSI (상대강도지수)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바로 RSI (상대강도지수) 입니다 1 서론 이번에는 스토캐스틱과 함께 대표적인 모멘텀 지료로 알려져 있는 RSI (Relative Strength Index)를 살펴보겠습니다. RSI는 현재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RSI는 1978년 Welles Wilder라는 사람이 가격의 상승과 하락 추세에서 상승 폭과 하락 폭을 계산하여 그 강도를 백분율로 계산해 현재 가격의 상태를 평가하고자 만든 기술적 지표인데요. 스토캐스틱과 마찬가지로 '과매수'와 '과매도'상태를 판단하기 용이한 보조지표로써 일정 기간 동안 가격의 전일 대비 상승 분 또는 하락 분의 평균 값을 구하여 상승 분..

<꿀팁모아 : 70번째 포스팅> 스토캐스틱 (Stochastic)?

스토캐스틱 (Stochastic)?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오늘 알아볼 주제는 바로 모멘텀 지표인 "스토캐스틱(Stochastic)" 입니다 제가 투자할 때 많이 참고하는 보조지표이기도 한데요. 기술적 지표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기술적 지표 (Technical Indicator) (tistory.com) 기술적 지표 (Technical Indicator) 기술적 지표 (Technical Indicator)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전반적인 기술적 분석은 끝났고 오늘 다뤄볼 주제는 기술적 지표 (Technical Indicator)에 대해 rrnfxlqahdk.tistory.com 1 서론 일정기간 동안 가격은 최고가와 최저가를 형성하는데요 (시장이 ..

<꿀팁모아 : 69번째 포스팅> 추세 대표 지표 MACD

추세 대표 지표 MACD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입니다 매일 색다른 주제로 찾아뵈려고 했지만 시간이 잘 나지 않아서 못올려드리네요 ㅠㅠ 오늘은 MAC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서론 현재의 시세를 예측하는데 있어 1년 전의 데이터와 어제의 데이터 중 무엇이 더 중요할까요? 당연히 어제의 데이터가 훨씬 더 중요하겠죠? 이 같은 개념을 일반적인 이동평균선에 적용한것이 바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y & Divergency) 인데요. MACD는 1979년 미국 뉴욕에서 제럴드 아팰(Gerald Appel)이란 사람이 단기 이동 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것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착안해 이동 평균선의 단점인 후행성을 보완하고자 만든 기술적 지표..

반응형